군의 당시 작전은 24일 새벽 4시부터 시작됐다. NLL 이북에서 북한군 단속정들이 활동했기 때문이다. 탈북을 시도하는 목선을 추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해군은 함정과 P-3 해상초계기를 NLL 인근에 투입했지만, 이를 찾지 못했다. 이후 육군 해안감시레이더가 새벽 5시 30분께 점 형태의 미상 표적이 속초 먼 바다로부터 연안으로 움직이는 것을 식별하고 이를 추적했다. 해당 목선의 속도가 느려 6시30분께 열영상장비(TOD)에도 포착됐다.
선박 형태임이 확인된 건 6시59분쯤이다. 군은 근접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7시3분 ‘표적 번호’를 부여하고 해당 표적에 접근했다. 이 과정에서 주변을 지나던 민간 선박이 7시10분 해양경찰에 신고하면서 목선임이 확인됐다.
군 작전은 한정적 자원으로 실제 위협이 되는 표적에 집중해 대응하는 것이다. 이번 일을 경계실패로 치부하는 건 문제가 있다는 얘기다. 250㎞의 휴전선을 완벽하게 경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3면으로 둘러싸인 바다나 드넓은 하늘은 말할 것도 없다. ‘철통같은 방어’, ‘물샐틈없는 경계’는 은유적 표현이지 바람직하지도 않고 가능하지도 않다. 우리 군도 이같은 실효성 없는 구호를 버리고, ‘최적화 된 경계작전’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