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전세 사기 의혹 피해자인 이 모 씨는 올해 9월 자신이 사는 빌라에 대한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들은 뒤부터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이 씨는 현재 거주 중인 전셋집을 구하면서 전세 사기에 휘말리지 않으려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음에도 결국 자신도 피해자로 전락한 게 한스럽기까지 하다고 했다. 그는 약 1억9000만원에 전셋집 계약을 맺었고 이 중 1억원을 은행 대출을 받았다.
서울 종로구의 한 모텔에서 빌라왕 김 모 씨가 숨진 채 발견된 게 딱 1년 전이다. 이어 서울 강서구와 인천 미추홀 구에서 전세 사기가 터졌다. 정부는 대책을 다섯 차례나 발표했다. 전세 사기 피해지원 특별법이 시행됐지만 전세 사기 악몽은 현재진행형이다. 경제적 약자인 청년과 서민의 주거가 흔들리고 있다. 국회는 특별법을 하루빨리 개정해 피해자 구제에 나서야 한다. 법으로 모든 전세 피해자를 구제할 순 없지만 젊은 임차인의 눈물을 닦아줘야 하는 게 사회적 책무가 아닌가. “돈이 없는데 어쩌라는 것이냐 내가 잘못한 게 아니라 나라가 잘못한 것이다”며 적반하장을 보인 정 씨의 행태를 두고만 볼 것인가. 이들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엄하게 묻는 것도 속히 필요하다.
|